신민경 부동산
쥴리 손 (Julie Son) - 부동산 전문 컨설턴트 (Re/Max Professionals)
샘 마(Sam Ma)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황주연(Irene) 부동산
네이션웨스트 보험 - 마틴권
Min ByungGyu 공인회계사
Buy & Sell
데이빗 최(David Choi)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 이곳은 이민초기에 필요한 자료만 올리는곳입니다. 질문이나 생각 등은 이민이야기/생활정보 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
♣ 글은 글쓴이의 인품을 비추는 거울과 같습니다. 답글은 예의와 품위를 갖추어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

♣ 상업적인 광고는 발견시 임시게시판으로 옮겨지며 문의는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바랍니다. ♣
♣ Ko사랑닷넷 광고안내 보기♣

 

 

 

겨울철에 집을 사려면

작성자 정보

  • YOUNGKIM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올 겨울 날씨는 유난히 춥게 느껴진다.  15년 이상 위니펙에 살면서 그동안 살인적인 혹한의 날씨를 여러차례 경험해 봤지만 올겨울은 웬지 힘에 부친다.  예전 이보다 더 추운 날씨도 아랑곳 하지 않고 잘 버텼는데, 이제 내공(?)이 떨어진건지 몸도 마음도 올 겨울이 낯설게만 느껴진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지난 1-2년간 위니펙 겨울은 눈도 많이 오지 않았고 환상적으로 따뜻했다. 오죽했으면 같은 기간 한국의 겨울 날씨보다 따뜻했으니 말이다. 며칠전 침목모임에 갔더니 모든 사람들이 올 겨울 추위를 놓고 불만섞인 소리를 한마디씩 내 뱉었다. 아마도 나뿐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올 겨울날씨가 더욱 춥게 느껴지는 것이 이 때문이 아닌가 싶다.
아직은 연초라 위니펙 부동산시장은 동면상태에 있다. 하지만 주말에 오픈 하우스가 열리는 집을 찾게 되면 많진 않지만 겨울철 틈새시장을 노리는 구매자들을 쉽지 않게 만날 수 있다.

 겨울철에 집을 찾는 구매자들은 대체로 봄, 여름철에 비해 경쟁이 심하지 않다는데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 우선 성수기에 비해 경쟁이 심하지 않아 적정가격에 집을 구매할 수 있고 흔치 않지만 급매물의 경우 착한 가격에 좋은 집을 살 수 있는 행운도 기대되기 때문이다. 

 허지만 이런 잇점에도 겨울철에 집을 구입할 때는 조심해야 될 부분이 많다. 일단 위니펙의 경우 겨울에 눈이 많이 오므로 지붕을 비롯 집의 외관을 자세히 볼 수 없고 바깥에 있는 에어콘 등 주요 설비를 점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계약서를 쓰기전 우선 중개사를 통해 지붕, 에어콘 등의  설치연도나 제조 년일을 확인해 두는게 필수적이다.  매매자측에서 잘못된 정보를 주면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이를 정확히 알아두는게 이사후 본의 아닌 추가비용 부담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집 실내를 둘러볼 때는 특히 유리창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 이중창, 삼중창으로 되어있는데 창에 문제가 있게 되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돼 마치 안개가 낀 것처럼 창이 뿌옇게 서린다. 여름철에는 문제가 있더라도 크게 눈에 띠지 않으므로 오히려 겨울철은 유리창 점검에는 적기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난방정도를 점검키 위해 집안에 설치돼 있는 온도조절계를 확인해 두는 것도 반드시 해야 될 일중 하나다. 집안이 따뜻한데도 정상적인 온도로 세팅이 돼 있다면 그 집은 난방이 잘 되는 집이다. 실내 기온이 높게 세팅이 돼 있는데도 집이 춥게 느껴지는 집은 난방비가 많이 들어도 열손실이 많은 집이라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매매자들이 구매자들의 방문을 감안해  집안 온도를 정상 난방기온보다 높여 놓는데 이 또한 참고해야 될 사항이다. 

 2월부터는 주택매물도 제법 나올 것 같고 틈새시장을 노린 구매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 : 전부동산중개사 김실령>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06 / 7 페이지
  • 이사 댓글 1
    등록자 아자
    등록일 01.07 조회 6714 추천 0

    렌트 아파트에서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에 재계약 했는데 올 4월에 이사를 가게 됐습니다. 9월 까지 계약 기간을 채워야 하는지 아니…

  • 부동산 중개 수수료의 적정선은?
    등록자 YOUNGKIM
    등록일 02.17 조회 6790 추천 0

    고객으로 부터 주택이든 상업용 매물이던 간에 리스팅 요청을 받고 만나면 마무리 과정에서 꼭 한번은 긴장되는 순간이 있다. 부동산 중개 수수료(C…

  • 교통사고 처리요령 2편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1.23 조회 6923 추천 0

    지난 글에는 사고가 났을때 대처하는 요령을 위주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사고신고후 뒷처리의 요령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지난번에 주로 묻는 질…

  • 내 집 매매시 자가 연출법
    등록자 YOUNGKIM
    등록일 02.11 조회 6982 추천 0

    위니펙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시작한지도 어언 8년이 넘어 버렸다. 세월이 화살같다는 옛말이 실감난다. 처음 개업했을 때만 하더라도 나외에 개업한 …

  • 비즈니스 하실분 필독하세요. 커머셜 보험의 필수사항 B… 댓글 2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6.27 조회 7078 추천 0

    BOILER & MACHINERY POLICY는 다른 말로 EQUIPMENT BREAK DOWN 이라고도 합니다. 요점은 증기가 관통하는…

  • 이사하고 바뀐주소로 할일 댓글 1
    등록자 검뎅
    등록일 08.19 조회 7187 추천 0

    제가 처음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이사를 가면 주소도 바뀌는데 바뀐주소로 해야할 일이 무엇이 있을까요? 은행가서 주소 이전. 헬스카드 주소…

  • SUBROGATION 2편 - 요점정리 댓글 7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8.13 조회 7314 추천 0

    오늘은 지난번에 자동차 보험에서 다뤘던 Subrogation을 좀 확대하겠습니다.A : 먼저 어느집(편의상 1번집이라고 하겠습니다)에 화재가 났…

  • 시 부동산 평가액과 시장 거래가격
    등록자 YOUNGKIM
    등록일 03.01 조회 7323 추천 0

    위니펙 주택 소유자 대부분이 이미 지난해 말을 전후해 시로부터 금년도에 납부해야 할 재산세(Property Tax), 즉 변경된 부동산 평가액을…

  • 캐나다 보험의 특이점 Loss Of Use 댓글 3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7.07 조회 7436 추천 0

    .Loss of Use 한글로 억지로 번역해보자면 <사용권을 잃었을때 대체하는 권리>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자동차에 대한 부분은…

  • 궁금하셨던 운전 면허증 안내 댓글 5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3.08 조회 7549 추천 1

    반갑습니다. 아직 동면에서 깨어나기엔 조금 이른겨울 끝무렵인데요.그래서 그런지 유난히 올해는 겨울이 긴것처럼 느껴집니다. 3월인데 오늘 아침기온…

  • 마니토바의 운전면허는 반드시 매년 갱신하셔야 합니다. …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8.19 조회 7625 추천 0

    대부분의 신규이민자들께서각각의 운전 면허증을 교환하시고,차를 구입하신 후 부부중 한분의 명의로 자동차 보험을 드시게 됩니다. 애초에 생각했던 학…

  • 집보험에 대하여 댓글 1
    등록자 정프로
    등록일 05.25 조회 7630 추천 0

    내가 내돈 주고 산 집 내가 보험 들든 말든 누가 상관이야? - 라는 생각을 우리는 쭉 해왔습니다. 저를 포함해서요. 한국에서 집보험 드신 분이…

  • Liquidated Damages Fee 란?
    등록자 YOUNGKIM
    등록일 05.03 조회 7634 추천 0

    처음 이민와서 1년안에 집을 사는 손님들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이는 드문 경우로 손님들 대다수가 1-2년 정도 임대 아파트나 타운하우스에서 지내…

  • 위니펙시의 교육청 목록 및 지도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4.23 조회 7635 추천 0

    위니펙시에 있는 6개 교육청의 목록 및 지도입니다. 매니토바 주정부 홈페이지에 가서 지도의 관심있는 교육청 구역을 누르면 해당 교육청 홈페이지도…

  • 허가를 맡아야 하는 홈 레노베이션들
    등록자 YOUNGKIM
    등록일 05.26 조회 7659 추천 0

    새 집이든 나이가 있는 집이든간에 보통 이사를 간후 4-5 년안에는 집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한 두번의 레노베이션을 하게 된다. 적게는 실내 페…

[알립니다]
** Ko사랑닷넷의 광고는 광고주의 요청에 의해 작성/광고되고 있으며, 광고내용에 대해 Ko사랑닷넷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않습니다.
** 광고에 따른 모든 거래는 본인 책임 아래하시기 바라며, 분쟁발생시 광고주와 소비자간에 직접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허위광고나 부당한 거래가 있으면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