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y & Sell
신민경 부동산
황주연(Irene) 부동산
네이션웨스트 보험 - 마틴권
Min ByungGyu 공인회계사
쥴리 손 (Julie Son) - 부동산 전문 컨설턴트 (Re/Max Professionals)
데이빗 최(David Choi)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샘 마(Sam Ma) 위니펙 부동산 리얼터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이야기방

 

♣ 글은 글쓴이의 인품을 비추는 거울과 같습니다. 답글은 예의와 품위를 갖추어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

♣ 이민, 유학, 현지 정착에 관련된 질문은 해당 게시판에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이곳은 카테고리에 있는 것처럼 감동/웃음/슬픔/지혜/음악/문학 등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입니다. ♣
♣ 상업적인 광고는 발견시 임시게시판으로 옮겨지며 문의는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바랍니다. ♣

♣ Ko사랑닷넷 광고안내 보기♣

  

따뜻한 이야기 분류

저도 가슴에 빨간꽃을 달려고 합니다, ^_^

작성자 정보

  • Shiny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지난주 길거리를 가는데 가슴에 빨간리본을 달더라구요. 한명을 봤을땐 그냥 지나쳤는데

얼마 안가서 또 몇명이 달았더라구요. 왜 그럴까?  생각하다가 팀홀턴 다에 가서 줄 서고

있다가 앞에 있는분 한테 물어봤어요.가슴에 왜 빨간 꽃을 다는지?  11월 11일 현충일

Remembrance Day  (November 11th) 전사자를 기리는 것이라고 말 하더군요. 순간  생각이 났어요

얼마전  아프리카 이디오피아 흑인을 만났는데 한국에서 왔다고 하고 한참 한국의 발전상을 애기

했는데 그 분이 말하길 그분의 아버지가 한국전쟁때 참전 했었다는 거여요. 저는 니들은 좀 무식하

고 후진국이고 교육수준이 낮다는 것을 빗 대서 한 애긴데... 한국전 참전당시  못 살았었다고 그렇게

 말하니까   할 말이 없더라구요...요즘 온지는 얼마 안됐지만 영어 못하니까 한국 이민자들이 도매금

으로 후진국 취급 당하는게 무척 싫었거든요...사실 학교 가서도 선생한테도 애기 했습니다. 캐나다

인들 보다 더 교육 수준이 높다고요.. 사실 학교 선생도 영어를 잘해서 그렇지 지식정도는 낮은 선생

들도 많더라구요.   ...애기가 딴데로 빠졌네요..

잘은 못 알아 들었지만  송뉴스에서 아프가니스탄 파병희생자와 한국전 참전 희생자등 나라를

위해 기리는  의식행사를 한다기에 .....좀..숙연 해지고 제가 죄지은 듯한 느낌이 약간 들었어요.

그래서 찾아 봤더니 캐나다인은 한국전에 보병1개여단, 해군, 1개비행수송중대 총 29,940 명의 군인

을 파견 했었더군요.............

한국전이 어쨌든 저는  태어나기 전 일이지만 우리조국과 관계 됐어던 일 아닌가요..... 

분명 그때 캐나다  군인희생자들  수백 있었을 것입니다. 그분들을 기리려 Remembrance Day 가

있다네요.  요즘 캐나다인 아프가니스탄에서 한명 죽어도 철수 하자는둥 언론에서 난리를 치는데

생각해보세요, 현재 캐나다 아프가니스탄 파병군인 2,800 명 밖에 안돼요.한국전엔 29,940명  10배는

더 많네요. 물론 그때 미국의 강요와 자국 캐나다 관계된 정치적,경제적 목적이 있었겠지만 요.

 그때 떠들썩 했던 한국전 희생자들을 이 캐나디언들은 기억 합니다.


저도 가슴에 빨간 꽃을 달려고 합니다.  ^-^

 

관련자료

댓글 6

홍운님의 댓글

  • 홍운
  • 작성일
캐나다군 2만 6천 971명이 한국전쟁에 참전 해서 그 중 516명이 전사하고 1천 250명의 부상당했습니다.

Shiny님의 댓글

  • Shiny
  • 작성일
네, 그렇군요. 피해도 많았네요.

푸른하늘님의 댓글

  • 푸른하늘
  • 작성일
Remembrance Day에 다른 꽃도 아닌 양귀비 꽃을 가슴에 다는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알기 위해 위키백과사전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영령 기념일 또는 종전 기념일(Rememberance Day)은 제1차 세계 대전을 비롯한 전쟁들을 기념하기 위해 영국 연방 국가들과 프랑스·벨기에를 포함 여러 유럽 국가에서 지켜지는 현충일(顯忠日)이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18년 11월 11일을 회상하기 위해 11월 11일에 지켜진다. 영령 기념일은 특히 전쟁 중에 죽은 군인들에게 바쳐진 것이며 에드워드 조지 허니의 제안으로 1919년 11월 7일 영국에서 조지 5세가 만들었다. 영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ANZAC: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에서는 휴전이 효력을 발휘한 시각인 11월 11일 11시에 2분간 묵념을 한다. 2분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나타낸 것으로 2차 대전 이전에는 묵념이 1분이었다 11월 11일은 캐나다의 현충일(顯忠日)이다. 이날 오전 11시, 캐나다의 전국민들은 1,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자유와 평화를 위해 목숨을 바친 용사들의 넋을 기린다. 1차대전이 종전되던 1918년 11월 11일 11시를 기념해 'Armistice Day'로 부르던 이날은 1919년부터 'Remembrance Day'로 이름을 바꾸고 국가 기념일의 하나로 지정됐다. 또, 매년 11월 5일부터 11일은 보훈주간(Veterans Week)으로 정해 각종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연방 정부 공무원들은 휴무일이나, 그 이하 정부 기관이나 회사들은 주마다 다르다. 서부와 대서양쪽 캐나다에서는 공휴일이다. 온타리오 주와 퀘벡 주에서는 공휴일이 아니지만 연방 정부와 관련있는 기관들은 휴일로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주에서 인정하는 휴일로 만든다. 학교들은 보통 오전 수업을 하거나 그 전날에 전사자들의 기념에 대한 여러 가지 프레젠테이션을 한다. 수천 명이 오타와에 있는 국립 전쟁 기념관에 모인다. 군중에는 참전용사들이 있는데 일부는 휠체어에 있으며 전사한 해군, 육군, 공군 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11월 11일 11시 2분간의 묵념 뒤 방송에서 시를 낭송한다. In Flanders Flields란 이 시는 캐나다인 참전 용사인 존 맥크래(John McCrae)가 지은 시이다. In Flanders Fields In Flanders fields the poppies blow Between the crosses, row on row, That mark our place; and in the sky The larks, still bravely singing, fly Scarce heard amid the guns below. We are the dead. Short days ago We lived, felt dawn, saw sunset glow, Loved, and were loved, and now we lie In Flanders fields. Take up our quarrel with the foe: To you from failing hands we throw The torch; be yours to hold it high. If ye break faith with us who die We shall not sleep, though poppies grow In Flanders fields. — Lt.-Col. John McCrae 개양귀비 들판에서 플랜더즈 들판에 양귀비꽃 피었네, 줄줄이 서있는 십자가들 사이에. 그 십자가는 우리가 누운 곳 알려주기 위함. 그리고 하늘에는 종달새 힘차게 노래하며 날아오르건만 저 밑에 요란한 총소리 있어 그 노래 잘 들리지는 않네. 우리는 이제 운명을 달리한 자들. 며칠 전만 해도 살아서 새벽을 느꼈고 석양을 바라보았네. 사랑하기도 하고 받기도 하였건만 지금 우리는 플랜더즈 들판에 이렇게 누워 있다네. 원수들과 우리들의 싸움 포기하려는데 힘이 빠져가는 내 손으로 그대 향해 던지는 이 횃불 그대 붙잡고 높이 들게나. 우리와의 신의를 그대 저 버린다면 우리는 영영 잠들지 못하리, 비록 플랜더즈 들판에 양귀비꽃 자란다 하여도. 존 맥크래(1872~1918) <개양귀비> 개양귀비 조화. 영령 기념일에 사람들은 개양귀비 조화를 달고 다니거나 무덤에 바친다. 종전을 기념하기 위해 개양귀비를 쓰는 일은 Madame Guerin이라는 여자가 처음으로 했는데, 이것이 플랑드르의 참혹했던 전쟁터에 흐드러지게 핀 개양귀비를 그린 존 맥크래(John McCrae)의 시 〈개양귀비 들판에서(In Flanders Fields)〉에서 비롯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통적으로 개양귀비 조화는 무료로 주어지지만 대부분 그 대가로 기부를 약간씩 한다. 캐나다에서는 1불이 일반적이다. 몇몇 사람들은 군사 행위를 평화롭게 대체하자는 욕구를 강조한 흰 개양귀비를 입기도 한다. 국제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사람들이라는 단체는 검은 개양귀비를 만들어서 입는다.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개양귀비는 평평한 얼 헤이그 변종이며, 캐나다에서 개양귀비는 꽃잎이 둥글게 말린 것이다. 출처 및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ki/%EC%98%81%EB%A0%B9_%EA%B8%B0%EB%85%90%EC%9D%BC’

Shiny님의 댓글

  • Shiny
  • 작성일
아~ 그렇군요. 유래 감사합니다.~ 11월11일 한국은 빼빼로 Day라 여자학생들이 좋아하는 남자학생들에게 주로 빼빼로,쵸코렛,사탕 등을 주면서 친근함을 표시하는 날 입니다. ~^-^

poly님의 댓글

  • poly
  • 작성일
여하간 저도 한국전 참전 용사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몇년전 부터 항상 포피를 사서 달고 다닙니다. 캐나다 방송보시면 프로그램 진행자들 항상 포피를 달고 있습니다. 위니펙에 한국전 전사자 묘역이 있습니다. 그리고 키내스턴/그랜트 근처에 가평부대라고 예전에 있었습니다. 지금은 재개발 예정지이고 군부대는 다른 곳으로 갔습니다. 아래는 위니펙에 있는 가평부대의 유래이ㅃ니다. Why 'Kapyong Barracks?' The barracks at Kenaston Blvd. and Grant Ave. were originally named the Selkirk Barracks. They were renamed Kapyong Barracks in 1973 to honour the heroic actions of the Second Battalion Princess Patricia's Canadian Light Infantry in Korea. 2PPCLI was involved in the Battle of Kapyong on April 24-25, 1951. After extremely heavy fighting in the Kapyong Valley, where Communist Chinese forces outnumbered Canadians by eight to one, the Second Battalion was able to hold off the Chinese and by doing so foiled their attempt to attack and recapture the city of Seoul. For their heroism at Kapyong, the soldiers of 2PPCLI were awarded the U.S. Presidential Citation for "outstanding heroism and exceptionally meritorious conduct in the performance of outstanding services." No other Canadian has ever received this distinction. (Source: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관리자님의 댓글

  • 관리자
  • 작성일
poly님, 위니베어님, shiny님, 글 전체가 아닌 한 문장에 들어있는 한 단어에 대한 논의를 종식하기 위하여, 또 shiny님의 부탁도 있어 댓글을 정리했습니다. 원래 관리자는 글의 원문이나 댓글에 수정이나 삭제 등 임의적으로 손을 대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논의가 격해져 회원들이 자유롭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분위기를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본 글의 요점에서 벗어난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혹 쓰신 댓글을 돌려받기를 원하는 회원분은 별로로 보관한 글을 쪽지로 보내드리겠습니다. 그 동안 이곳에서 있었던 논의가 홈페이지에서 서로가 어떻게 예의를 지키고 답변을 해야 하는지 알게 된 우리 회원 모두에게 귀중한 경험이었다고 생각을 하면서 논의를 마치려고 합니다. 향후 이곳에 계속 이의를 다는 댓글을 다시면 Ko사랑닷넷의 자유롭게 글을 쓰는 분위기를 해치는 행동으로 보고 바로 삭제와 더불어 경고조치를 하겠습니다. 글을 쓴 사람에게 댓글로 드리는 칭찬과 격려가 건전한 비판 댓글보다는 우리 Ko사랑닷넷 커뮤니티를 발전시킬 것으로 믿습니다. 글을 쓰는 분들에게 많이 칭찬해 주시고 격려해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체 382 / 4 페이지
  • 마음의 길
    등록자 태산일송
    등록일 05.30 조회 1912

    부정적인 생각들은 우리 마음의 본질이 아니라, 마음의 자연스런 상태를 막는 일시적인 장애물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마음이라는 교정 수단을 이용해 …

  • 그림이 있는 시 - [유리창] / 이해인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4.11 조회 1909

    문학 이야기 유리창 이 해 인 가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웃다가 울다가 어른이 되고 삶을 배웠네 하늘과 구름과 바람 해와 달과 별 비와 꽃과 새 원하는 만큼…

  • 새롭게 읽는 한국 역사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12.31 조회 4183

    다음 까페에서 읽은 한국사인데, 정말 내용이 새롭습니다. 어렸을 때 배운 한국사와 요즘 교과서에 실리는 내용도많이 바뀌었던데... 이곳에 가니 …

  • 시사용어 - 노비즘 (Nobysm)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1.31 조회 1912

    생활 이야기 노비즘 (Nobysm) -이웃이나 사회에 피해가 되더라도 자신에게 바로 손해가 오지 않는 일에는 무관심한 현상- 오직 자신만을 생각하고 타인에 …

  • 휘어짐의 귀한 이치를 알아야겠습니다.
    등록자 태산일송
    등록일 04.19 조회 3642

    돈이나 권력의 지나친 탐욕 탓에 쫓기듯 세상을 살아갑니다. 죽음에 그만큼 가까이 다가감을 모르고 말입니다. 요즘 사람이 그렇습니다. 칼날을 언제…

  • 세 머슴과 엽전이야기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3.02 조회 1918

    지혜 이야기 옛날에 어느 돈 많고 공부도 많이 한양반이 있었습니다. 이 양반은 워낙 인품도 훌륭하고 지혜로워 어느 정도 자신의 집에서 일한 머슴들에게는 자유…

  • 포인세티아 - "버리지 마세요!"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2.05 조회 1932

    생활 이야기 포인세티아 "버리지 마세요." - Don't toss that Poinsettias ! 포인세티아는 '한 해살이 식물'이 아닙니다. - Poin…

  • "가벼운 사람" "무거운 사람"
    등록자 일송
    등록일 03.04 조회 2163

    사람은 다 같은 사람이지만 바람보다도 가벼운 사람, 돌보다도 무거운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바람보다도 가볍다는 것은 후후 불면 떠다니며 …

  • 복 받기를 바라거든 여섯가지 도둑을 잡아라!
    등록자 일송
    등록일 02.08 조회 7126

    세상에서 제일 고약한 도둑은 바로 자기 몸 안에 있는 여섯가지도둑일쎄 눈 도둑은 보이는것마다 가지려고 성화를 하지... 귀 도둑은 그저 듣기 좋…

  • 창조의 노력
    등록자 일송
    등록일 03.06 조회 1957

    산다는 것은 끊임 없이 자기 자신을 창조하는 일 그 누구도 아닌 자신이 자신에게 자신을 만들어준다. 이 창조의 노력이 멎을 때 나무건 사람이건,…

  • 위대한 일을 이뤄낸 사람은...
    등록자 일송
    등록일 02.02 조회 6059

    지혜 이야기 위대한 일을 이뤄낸 사람은 대개 욕심이 없고 원만한 사람입니다 일에 실패하고 기회를 놓친 사람은 대개 욕심이 많고 고집센 사람입니다 마음이 비어…

  • 각박하고 메마른세상속에 정으로 다가간다면...
    등록자 태산일송
    등록일 07.02 조회 1967

    아라비아 속담에 “낙타의 등은 마지막 콩 한알로 부러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들어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갈등은 그동안 누적되어 온 문제들이 사…

  • 침묵하는 연습
    등록자 일송
    등록일 02.21 조회 3857

    다 익은 생각이나 느낌 일지라도 더욱 지긋이 채워 두면서 향기로운 포도주로 발효되기를 기다릴 수 있기를 바란다. 침묵하는 연습 비록 내 안에 슬…

  •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의 의미를 아시나요?
    등록자 KoNews
    등록일 03.10 조회 1990

    슬픈 이야기 2차 세계대전 중 아시아에서 여성들과 아이들의 인권 침해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인 위안부에 대하여 위니펙에 있는캐나다 인권 박물관(Canadia…

  • 쓸모있는것과 쓸모 없는것 댓글 2
    등록자 일송
    등록일 02.13 조회 5304

    어느날 장자의 제자가 장자에게 와 이렇게 물었습니다. "스승님, 스승님의 이야기는 실로 그럴듯하지만 너무나 크고 황당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쓸모가…

  • UN발표 '세계 나라별 행복도 순위' - 2017.3.20.<세계 행복의 날> 발표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3.22 조회 2013

    생활 이야기 3월 20일은 UN아 정한 '세계 행복의 날'이었습니다. UN은 2012년 처음으로 '세계 행복 보고서 World Happiness Report…

  • 마음이 깨끗해지는 법 하나
    등록자 태산일송
    등록일 06.28 조회 2016

    우리 마음이 깨끗해 지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한가지는 고통과 고난을 겪는 것이고 또 한가지는 깊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바다는 태풍이 불…

  • 인간사엔 머피의 법칙이...
    등록자 태산일송
    등록일 04.28 조회 3437

    인간사엔 자질 구레한 일 역시 들쭉날쭉하여 움직이면 마음에 어긋나고 제대로 되는게 없네 젊어선 집이 가난하니 아내가 업신여기고 늘그막엔 봉급이 …

  • 그것이 알고 싶다. - 과일 표면 스티커와 스티커 숫자의 비밀.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1.17 조회 2035

    건강 이야기 1. 과일 표면의 스티커 - 유해 혹은 무해? 사과, 바나나 등의 표면에 붙어 있는 스티커, 접착제의 화학 성분이 해롭지 않을까? - 아니다. …

  • 그림이 있는 시 - [가을엔 따뜻한 가슴을 지니게 하소서] / 이채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9.19 조회 2041

    문학 이야기 가을엔 따뜻한 가슴을 지니게 하소서 이 채 가을엔 마음의 등불 하나 켜 두게 하소서 하루의 아픔에 눈물짓고 이틀의 외로움에 가슴 쓰린 가난해서 …

  • 남자가 여자를 보고 반하는 모습 30가지
    등록자 푸른하늘
    등록일 07.11 조회 4131

    1. 항상 밝은 웃음을 보일때 2. 조용히 귀에 속삭여서 말할때 3. 여자가 약간은 어설프게 스킨쉽을 시도할때 4. 자신이외 다른남자에게는 전혀…

  • 차이점을 아시나요 ? - 1. 매화와 벚꽃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4.12 조회 2047

    생활 이야기 봄이 되면 다양한 꽃들이 피기 시작합니다. 이 중 매화와 벚꽃은 봄의 꽃으로 인기가 높지만, 생김새와 꽃 피는 시기가 비슷해 구분하지 못하는 사…

  • 불치병 여섯가지
    등록자 일송
    등록일 03.03 조회 2064

    첫째, 교만하고 방자하여 도리에 어긋나는 것을 하는 경우, 둘째, 몸의 건강보다 재물을 더 소중히 여기는 경우, 셋째, 먹고 입는 것이 적당치 …

  • 그림이 있는 시 - [시월] / 공석진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10.03 조회 2066

    문학 이야기 시월 공 석 진 여름 내내 잠복해 있던 그리움을 앓는 거겠지 고열로 단풍이 벌겋게 달아오르고 눈물처럼 아픈 잎새 뚝뚝 떨어지는데 어쩔거야 나 하…

  • 물 잔으로 건배 ? --- 노! ! 노! 노! NO!!!
    등록자 자작나무숲
    등록일 06.03 조회 2073

    생활 이야기 요즈음은 회식이나 모임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이 많이 늘었습니다. 예전 같으면 꿈도 꾸지 못할 일이지만, 직장 상사 앞에서 '저는 술을 마시…

[알립니다]
** Ko사랑닷넷의 광고는 광고주의 요청에 의해 작성/광고되고 있으며, 광고내용에 대해 Ko사랑닷넷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않습니다.
** 광고에 따른 모든 거래는 본인 책임 아래하시기 바라며, 분쟁발생시 광고주와 소비자간에 직접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허위광고나 부당한 거래가 있으면 kosarang@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알림 0